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10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UniCode

[이것이 자바다]CH06.클래스(확인문제풀이)-① 본문

이것이 자바다

[이것이 자바다]CH06.클래스(확인문제풀이)-①

Uni_code 2021. 3. 28. 09:30

1. 객체와 클래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(청사진)와 같은 것이다.

② new 연산자로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함으로서 객체가 생성된다.

③ 하나의 클래스로 하나의 객체만 생성할 수 있다.

④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이다.

 

③ 하나의 클래스로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.

 

2. 클래스의 구성 멤버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필드(field)

② 생성자(constructor)

③ 메소드(method)

④ 로컬 변수(local variable)

 

☞ ④ 로컬 변수(local variable)

 

3. 필드, 생성자, 메소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필드는 객체의 데이터를 저장한다.

② 생성자는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한다.

③ 메소드는 객체의 동작 부분으로, 실행 코드를 가지고 있는 블록이다.

④ 클래스는 반드시 필드와 메소드를 가져야 한다.

 

☞ ④ 클래스의 구성 멤버는 필드, 생성자, 메소드로 이 구성 멤버들은 생략되거나 복수 개가 작성될 수 있다.

 

4.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필드는 메소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.

② 인스턴스 필드 초기화는 생성자에서 할 수 있다.

③ 필드는 반드시 생성자 선언 전에 선언되어야 한다.

④ 필드는 초기값을 주지 않더라도 기본값으로 자동 초기화된다.

 

☞ ③ 필드는 생성자 선언과 메소드 선언의 앞과 뒤 어떤 곳에서도 필드 선언이 가능하다.

 

5. 생성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객체를 생성하려면 생성자 호출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.

② 생성자는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기 위해 this()를 사용할 수 있다.

③ 생성자가 선언되지 않으면 컴파일러가 기본 생성자를 추가한다.

④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할 수 없도록 생성자에  private 접근 제한자를 붙일 수 있다.

 

☞ ① 생성자를 실행시키지 않고는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.

 

6. 메소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리턴값이 없는 메소드는 리턴 타입을 void로 해야 한다.

② 리턴 타입이 있는 메소드는 리턴값을 지정하기 위해 반드시 return문이 있어야 한다.

③ 매개값의 수를 모를 경우 "..."를 이용해서 매개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.

④ 메소드의 이름은 중복해서 선언할 수 없다.

 

 ④ 메소드의 이름은 중복해서 선언할 수 있다. -> 메소드 오버로딩

 

 

7. 메소드 오버로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동일한 이름의 메소드를 여러 개 선언하는 것을 말한다.

② 반드시 리턴 타입이 달라야 한다.

③ 매개 변수의 타입, 수, 순서를 다르게 선언해야한다.

④ 매개값의 타입 및 수에 따라 호출될 메소드가 선택된다.

 

② 리턴 타입은 자바 가상 기계가 메소드를 선택할 때 아무런 도움울 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관없다.

 

8. 인스턴스 멤버와 정적 멤버애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정적 멤버는 static으로 선언된 필드와 메소드를 말한다.

② 인스턴스 필드는 생성자 및 정적 블록에서 초기화될 수 있다.

③ 정적 필드와 정적 메소드는 객체 생성 없이 클래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.

④ 인스턴스 필드와 메소드는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해야 한다.

 

☞ ② 인스턴스 필드는 생성자에서 초기화되며, 정적 필드는 정적 블록에서 초기화 된다.

 

9. final 필드와 상수(static final)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final 필드와 상수는 초기값이 저장되면 값을 변경할 수 없다.

② final 필드와 상수는 생성자에서 초기화될 수 있다.

③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이다.

④ 상수는 객체 생성 없이 클래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.

 

 ②  final 필드는 생성자에서 초기화될 수 있다.

하지만 상수는 선언 시 값을 주고나 정적 블록에서 초기화가 가능하다.

 

10. 패키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패키지는 클래스들을 그룹화시키는 기능을 한다.

② 클래스가 패키지에 소속되려면 패키지 선언을 반드시 해야 한다.

③ import문은 다른 패키지의 클래스를 사용할 때 필요하다.

④ mycompany 패키지에 소속된 클래스는 yourcompany에 옮겨 놓아도 동작한다.

 

☞ ④ 클래스를 이동할 경우 패키지 전체를 이동시켜야 한다.

 

11. 접근 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?

① 접근 제한자는 클래스, 필드, 생성자, 메소드의 사용을 제한한다.

② public 접근 제한은 아무런 제한 없이 해당 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.

③ default 접근 제한은 해당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을 허가한다.

④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private 접근 제한을 해야 한다.

 

☞ ③ default는 같은 패키지내에서 사용가능하며 다른 패키지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하다.

해당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을 허가하는 접근제한자는 private이다.